己出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0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08:50
본문
Download : 동양10강.hwp
이 reference(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역’은 도교와 유학의 내용을 상당히 공유한 것 이라고 볼 수 있음. 주역을 통해 ‘우주론’을 공부함.
*주돈이: 태극도설
-도교사상의 ‘도사’나 ‘방사’들은 도식(그림)의 신비한 힘을 믿음. 주돈이도 도교에서 전해져오는 ‘태극도’라는 그림을 수정/재해석하여 유교를 새롭게 부활시키려는 시도를 함.
<태극도>
*제1파트
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 一動一靜, 互爲其根. 分陰分陽, 兩儀立焉. 陽變陰合, 而生水火木金土., 五氣順布, 四時行焉. 五行一陰陽也. 陰陽一太極也. 太極本無極也.
…(skip)
Download : 동양10강.hwp( 48 )
한성구,동양사상입문,강의안,10강,아이캠퍼스,인문사회,레포트
다. 이러한 신유학은 오히려 불교와 서양 문물을 오히려 원용했음.
*수당시대에 새롭게 부활한 유교
-과거제의 도입으로, 해답을 유가경전에서 구함
==>수험을 위한 표준적인 해석본이 나타나게 됨에 따라, 일의적 해석으로 인해 유가의 사상이 죽어가게 됨.
==>유학사상이 사회적이나 겉으로 보기에는 많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점점 축소화되었음.
-그 당시에는 신유학을 ‘도학’이라고 불렀음.
<한유의 도통설(道統設)>
-유교의 도통
:요순우탕문무왕->공자->맹자(여기까지만 유교의 도통이 전수되고 후에 끊김)->(순자&양웅: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님)
--->맹자에서 끊어진 도통을 ‘한유’ 자신이 잇겠다고 말함.
-한유는 사서 중 ‘중용’을 비전으로 봄.
*도교의 ‘음양오행설’
-도가의 사상으로 유명하지만, 공자의 말을 담았다고 전해지기도 하는 ‘주역’에도 음양오행설이 등장함. 그러나 ‘주역’은 도교의 경전이기도 한다.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 이러한 신유학은 오히려 불교와 서양 문물을 오히려 원용했음.
*수당시대에 새롭게 부활한 유교
-과거제의 도입으로, 해답을 유가경전에서 구함
==>수험을 위한 표준적인 해석본이 나타나게 됨에 따라, 일의적 해석으로 인해 유가의 사상이 죽어가게 됨.
==>유학사상이 사회적이나 겉으로 보기에는 많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점점 축소화되었음.
-그 당시에는 신유학을 ‘도학이라고 불렀음.
<한유의 도통설(道統設)>
-유교의 도통
:요순우탕문무왕->공자->맹자(여기까지만 유교의 도통이 전수되고 후에 끊김)->(순자&양웅: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님)
->맹자에서 끊어진 도통을 ‘한유 자신이 잇겠다고 말함.
-한유는 사서 중 ‘중용을 비전으로 봄.
*도교의 ‘음양오행설
-도가의 사상으로 유명하지만, 공자의 말을 담았다고 전해지기도 하는 ‘주역에도 음양오행설이 등장함. 그러나 ‘주역은 도교의 경전이기도 한다.이 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
설명
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송대의 유학을 ‘신유학이라고 부름
1900년대 이후의 유학사상-‘현대 신유학이라고 부르기도 함.
*외래의 文化(culture) 가 중국(China)에 영향을 미친 두 시기
-불교의 유입
-서양 문물의 유입(서학, 과학)
==>신유학은 이러한 불교와 서양문물에 대항하기 위해 전통유학을 쇄신시키고자 한 것이 바로 ‘신유학이다.






**시험에 나왔던 己出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essay question(주관식)// 네모: 객관식).**
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순서
己出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0강
<<<빈공간 부분은 강의안이 캡쳐되어있는 부분입니다.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주역은 도교와 유학의 내용을 상당히 공유한 것 이라고 볼 수 있음. 주역을 통해 ‘우주론을 공부함.
*주돈이: 태극도설
-도교사상의 ‘도사나 ‘방사들은 도식(그림)의 신비한 힘을 믿음. 주돈이도 도교에서 전해져오는 ‘태극도라는 그림을 수정/재해석하여 유교를 새롭게 부활시키려는 시도를 함.
*송대의 유학을 ‘신유학’이라고 부름
1900년대 이후의 유학사상-‘현대 신유학’이라고 부르기도 함.
*외래의 文化(culture) 가 중국(China)에 영향을 미친 두 시기
-불교의 유입
-서양 문물의 유입(서학, 과학)
==>신유학은 이러한 불교와 서양문물에 대항하기 위해 전통유학을 쇄신시키고자 한 것이 바로 ‘신유학’이다.
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시험에 나왔던 기출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주관식// 네모: 객관식).**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0강인문사회레포트 , 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10강 아이캠퍼스
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
레포트/인문사회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