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理論(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02:14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hwp
3) 수집 및 분석
1. Tyler의 평가 槪念
Tyler는 교육평가에 대한 definition 를 ‘교육 또는 수업활동을 통해 교육 또는 수업목표(goal)가 어느 정도 달성 되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평가의 준거를 목표(goal)에 둠으로써 의도했던 목표(goal)와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비교에 의해서 교육과정을 평가한다.
레포트/사범교육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 인식
상황분석
패널토론
마무리
ii. 상황분석
1) 해결해야할문제 분석
① 시간 : 발표 40분, 토론 10분, 약 50분 배정
② 발표 시기 : 교육과정이론(理論) 16주 32회 수업의 후반부
③ 발표 해결해야할문제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발표 내용 : Tyler 목표(goal)중심평가 모형, 학업성취도 평가 모형(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수행평가
2) 발표 목적 분석
① ‘교육과정’과 ‘평가’가 각각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교육평가는 ‘학업성취도 평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계획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나서 그것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고 그것은 계획된 교육과정이 얼마나 잘 실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체를 평가하는 의미도 된다된다.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② 타일러가 개발한 교육과definition 한 요소로서 ‘교육평가’ 모형인 목표(goal)중심평가모형을 紹介하며 타일러가 definition 하는 평가槪念이 목표(goal)달성여부에 있음을 밝힌다.
⑤ 표준화검사의 하나의 대안으로서 도입된 수행평가를 紹介한다.
③ 타일러가 개발한 목표(goal)중심평가모형은 학업성취도 평가모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를 紹介한다. 다시 말하면, Tyler는 교육과정 평가를 목표(goal) 달성 여부의 확인에 두는 것이다. 여기서 그 목표(goal) 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는 주로 학습자의 성취도 검사를 통해 수집된다된다. 그러나 Tyler는 교육과정 자체를 평가의 대상으로 …(생략(省略))
순서
교육과정 理論(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Download :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hwp( 67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요점하였습니다.[교육학]‘교육과정’과‘평가’의관련성 ,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교육과정’과‘평가’의관련성
,사범교육,레포트
설명
다.
④ 이전까지 우리가 ‘평가’에 대해 가져왔던 관념은 지필검사 혹은 multiple choice검사로 아주 협소한 의미였음을 인식하고 그 이유를 설명(說明)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