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6:30
본문
Download : 통일신라_2015732.hwp
스터디《통일신라》[1] , 통일신라경영경제레포트 ,
- 무왕: (719~737)독자적 연호의 사용 仁安, 日本 에 사신, 당과의 대립 관계
영토확장에 주력, 동북방 세력 복속, 북만주 일대 장악, 신라-북방 경계 강화
당이 흑수부말갈에 도독부를 설치하고 장사의 관리 파견→흑수부를 공격
→ 장문휴로 하여금 당의 산둥지방 공격, 요서지역에서 당군과 격돌→당은 신라와 양면으로
공격하였으나 실패(733)
돌궐·日本 등과 연결, 당과 신라 견제
- 문왕: (737~794) 대외적 화친에 힘씀, 문물을 받아들여 내치에 업적
당과 친선 관계, 문물의 수입, 체제의 정비, 신라와의 상설 교통로 개설 : 대립관계 해소
수도 천도: 중경→상경: 지배체제의 정비 반영, 국력이 동쪽과 북쪽으로 신장,
(5대 성왕(794~795)때 상경으로 환도 멸망때까지 유지)
발해군왕→발해국왕으로 봉작명 승격: 국제적 지위의 승격
연호의 사용: 인안, 대흥: china(중국) 과 대등한 지위에 있음을 대외적으로 과시
이후 지배층의 내분으로 국력의 약화
- 선왕: 10대, 818~830, 발해의 융성시기
유학생을 당에 보내 culture와 제도 섭취. 대규모의 영토경영을 꾀함→
말갈족의 대부분 복속, 요동지역으로 진출, 남쪽으로 신라와 국경을 맞댐
지방 제도의 완비 5경 15부 62주로 정비
→해동성국이라 불림
- 10세기 초: 15대 대인전: 거란의 세력 확대, 내부의 권력 투쟁 격화 → 국력 약화
거란의 침략으로 멸망(926) : 230년가량 존속
→ 발해 유민에 의한 부흥운동 실패 → 만주 지역의 지배력 급격히 약화
□ 독자적 연호의 사용: 고왕-대통, 무왕-인안, 문왕-대흥, 성왕-중흥, 선왕-건흥
○ 남북국가의 관계: …(drop)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스터디《통일신라》[1]
Download : 통일신라_2015732.hwp( 54 )
통일신라에 대한 글입니다.
다.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통일신라
통일신라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