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desk.co.kr 갈암의 율곡 비판 > coindesk4 | coindesk.co.kr report

갈암의 율곡 비판 > coindesk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desk4

갈암의 율곡 비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17:57

본문




Download : 갈암의 율곡 비판.hwp





퇴계에 있어서 이는 극존무대의 주재자로서 동정이 없는 가운데 동정하는 존재이다. 여기서 동정이 없는 가운데 동정한다는 말은 이 자체가 동정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동定義(정의) 소이연으로서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의미이다.
퇴계는 리기불상리의 현상 속에서 이의 순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발기수`와 `기발이승`의 논리를 동원하였다. 갈암의%20율곡%20비판_hwp_01.gif 갈암의%20율곡%20비판_hwp_02.gif 갈암의%20율곡%20비판_hwp_03.gif 갈암의%20율곡%20비판_hwp_04.gif 갈암의%20율곡%20비판_hwp_05.gif 갈암의%20율곡%20비판_hwp_06.gif
퇴계가 이기호발설을 주장한 것은 `인간 주체의 도덕성 확립`라는 차원과 관련되어 있다 그가 이기론에 있어서 불상리 불상잡의 원리를 긍정하면서도...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갈암의 율곡 비판

Download : 갈암의 율곡 비판.hwp( 63 )



퇴계가 이기호발설을 주장한 것은 `인간 주체의 도덕성 확립`라는 차원과 관련되어 있따 그가 이기론에 있어서 불상리 불상잡의 원리를 긍정하면서도 주자의 `리기결시이물`에 근거하여 `불상잡`을 강조한 것은 이의 본질(소이연지고)에 대한 해명을 통해 인간의 윤리적 당위법칙(소당연지칙)을 확립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가 이기론에 있어서 불상리 불상잡의 원리를 긍정하면서도... , 갈암의 율곡 비판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퇴계는 이를 천지만물의 본체로서 악의 가능성을 내포한 기와는 구별되는 순선의 존재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의 능동성을 주장한다. 사단칠정론은 인간 주체의 도덕성을 확립하는데 근간이 되는 理論(이론)으로, 선악이 공존하는 칠정으로부터 어떻게 사단의 순수성을 확립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인간 주체의 순수성과 도덕성을 확보하는 관건이 된다 퇴계의 이기호발설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方案)으로 제시된 理論(이론)이다.
주자는 이와 기를 `형이상의 도`와 `형이하의 기`로 구분하였거니와 퇴계 또한 형이상의 이를 형이하의 기와 구분하고 이의 가치론적 우월성을 주장한다. 만약 이러한 이의 능동성이 상실된다면 이는 사물이 되어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고 퇴계는 극언하고 있따 퇴계에 있어서 이가 지니는 묘용의 능동성이야말로 이기호발설을 가능케하는 원동력인 것이다. 기의 용사를 통해 발현하여 선악이 공존하는 `기발이승`의 논리와는 달리 `이발기수`는 순수한 이가 기의 간섭이 없이 발현하여 순선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따 이를 퇴계는 주리와 주기, 혼…(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퇴계가 이기호발설을 주장한 것은 `인간 주체의 도덕성 확립`라는 차원과 관련되어 있다.
이기호발설이란 기대승(1527-1572)과의 사단칠정에 대한 논변에서 사단을 `이발이기수지`로, 칠정을 `기발이이승지`로 파악한 데서 비롯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체 6,84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des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