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갯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12:03
본문
Download : 새만금 갯벌.hwp
다.(97년 국정감사 資料)
▷특히 만경강과 동진강의 경우 축산폐수량이 많아 호수의 부영양화의 Cause 이 되는 총인과 총질소의 양이 만경강의 경우 T-N은 기준치 12.9배, T-P는 8.9배, 동진강의 경우 T-N은 4.6배에 이르고 있어 새만금호에 影響(영향)을 주는 하천의 수질improvement을 위한 획기적인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지금 흘러 들어오는 물을 가두어 두더라도 시화호보다 더 오염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미 새만금호에 影響(영향)을 미칠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최하류지점에서의 수질을 시화호의 수질과 비교해보면 만경강의 수질은 `96년 평균(average) COD가 17.6ppm으로 동기대비 시화호의 수질보다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화호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기 전인 `93년과 비교하면 4.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새만금 , 새만금 갯벌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새만금 갯벌






설명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새만금 갯벌.hwp( 66 )
1) 문제의 관념
2) 새만금 간척사업의 현실파악
① 새만금 탄생의 배경
② 새만금 간척사업의 개요
③ 간척사업의 現況
④ 사업비
⑤ 새만금 간척사업의 problem(문제점)
* 갯벌의 가치와 기능
* ‘새만금사업’에 대한 한국해양학회 회원들의 意見(의견)
3) 현재의 대안measure(방안)
government , 전문가, 주민, 네티즌
4) 외국事例
① 미국 ② 日本(일본)
5) 실천measure(방안)
5) 새만금 간척사업의 problem(문제점)
방조제공사이후 갯벌 오염 악화, 백합 생산 중단, 유수 흐름 차단하여 무기물이 분해안됨,
철새들의 종의 다양성 감소
(1) 새만금 담수호 오염문제는 현재의 government 계획으로 해결될 수 없다.새만금
새만금 간척사업의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 향후 대안방안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2) environment(환경) 기초시설의 제기능 불능의 문제
▷새만금호의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environment(환경) 기초시설의 정비와 함께 하수관거정비계획…(투비컨티뉴드 )
새만금 간척사업의 현재상황에 대해서 조사하고 향후 대안대안에 대해서 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